시감상

<298>늦여름 오후에

시온백향목 2016. 12. 10. 17:58

늦여름 오후에 -홍신선(1944~ )

 

 

 

오랜만에 장마전선 물러나고 작달비들 멎고

 

늦여름 말매미 몇이 막 제재소 전기톱날로

 

둥근 오후 몇 토막을 켜 나간다

 

마침 몸피 큰 회화나무들 선들바람 편에나 실려 보낼 것인지

 

제 생각의 속잎들 피워서는

 

고만고만한 고리짝처럼 묶는

 

집 밖 남새밭에 나와

 

나는 보았다, 방동사니풀과 전에 보지 못한 유출된 토사 사이로

 

새롭게 터져 흐르는 건수(乾水) 투명한 도랑줄기를.

 

지난 한 세기의 담론들과 이데올로기 잔재들을 폭파하듯 쓸어 묻고는

 

천지팔황 망망하게

 

그러나 자유롭게 집중된 힘으로 넘쳐흐르는

 

마음 위 깊이 팬 생각 한 줄기 같은

 

물길이여

 

그렇게 반생애 살고도 앎의 높낮은 뭇 담장들 뜯어치우고는

 

범람해 흐르는 개굴창 하나를 새로 마련치 못했으니

 

다만 느리게 팔월을 흐르는 나여

 

꼴깍꼴깍 먹은 물 토악질한

 

닭의장풀꽃이

 

냄새 기막힌 비누칠로 옥빛 알몸 내놓고 목물 끼얹는

 

이 풍경의 먼 뒤꼍에는

 

두께 얇은 통판들로 초저녁 그늘 툭툭 쌓이는 소리.

 

------------------------------------------------------------------------------------------

 

툭하면 쏟아지던 작달비들 멎은 긴 장마 뒤, 말매미 몇이 울어댄다. 흡사 제재소 전기톱날 돌아가는 소리, 모처럼의 둥근 오후를 토막토막 켜는 듯하다. 화자는 집 밖 남새밭에 나와있다. ‘몸피 큰 회화나무들이 둘러서 있다. 그 옛날 과거를 보러 가거나 합격하면 집에 심었다는 회화나무는 학자수(學者樹), 혹은 선비나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유교 관련 유적지에서는 거의 회화나무가 있다는데, 퇴계 이황이 모델인 천 원짜리 지폐 뒷면의 도산서원을 둘러싼 무성한 나무도 회화나무란다. 화자는 학자를 많이 낸 집안 후손인가 보다. 화자는 남새밭 농부가 아니다. ‘제 생각의 속잎들 피워서는/고만고만한 고리짝처럼 묶는회화나무는 지식노동자인 화자의 반영이다. 잦은 비에 씻겨 사위가 깨끗한 늦여름 오후, 방동사니 우거진 밭에 건수 투명한 도랑줄기졸졸 흐르는 걸 보며 화자는 지난 한 세기의 담론들과 이데올로기 잔재들을 폭파하듯 쓸어 묻은세상이며 반생애 살고도 앎의 높낮은 뭇 담장들 뜯어치우고는/범람해 흐르는 개굴창 하나를 새로 마련치 못한자신을 돌아본다. 이번 세기 초에 쓰였을 시다. 정치이념에서 비껴 살던 사람들도 충격이 없을 수 없었던 냉전 종식 이후, 세기가 바뀌는 밀레니엄여파로 벅차기도 하고 뒤숭숭하기도 했던 그때. 시대의 풍경 먼 뒤꼍을 기웃거리는 한 지식인의 내면이 장마 뒤 남새밭 풍경과 함께 자유롭게 집중된 힘으로그려졌다.

 

황인숙 시인


'시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96>한복  (0) 2016.12.14
<297>맛있었던 것들  (0) 2016.12.13
<299>거울에게  (0) 2016.12.04
<300>처서(處暑)라는 말의 내부  (0) 2016.12.03
<302>들개신공  (0) 2016.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