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생강은 장수약
속설(俗說)에 ”상상나복하상강(上床蘿蔔下床姜), 불노위생개약방(不勞醫生開藥方)” 이란 말이 있다.
다시 말하면 ”잠자기 전에 무를 먹고 기상 후 생강을 먹으면 의사가 애써서 약방을 열 필요가 없다.” 는 뜻이다.
이 말은 잠을 잘 때는 모든 인체내의 기관의 활동이 감소되므로 소화를 돕기 위하여 무를 먹고 기상 후 하루의 일과를 시작하기 전에 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생강을 먹는다는 뜻이다.
오랫 동안 생강을 복용하면 작은 병들이 몸을 귀찮게 하지 않고 큰 병도 걸리는 확률이 낮아진다.
생강은 보건식품인가?
역사를 돌이켜 보면 고인들은 생강을 즐겨 먹는 습관을 가지고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묘(漢墓) 마왕퇴(馬王堆)에서 출토된 약재(藥材) 중에 생강이 포함되어 있다.
또 지금 부터 2500여 년전 춘추시대(春秋時代)의 공자(孔子 : 기원 전 551 년 ? 기원 전 479 년) 역시 생강을 즐겨먹는 습관을 지니고 있었다.
공자의 저서 논어(論語)에 보면 ”불철강식(不撤姜食), 불다식(不多食).” 이란 구절(句節)이 나온다.
다시 말하면 ”생강을 끊지 말고 먹되 많이 먹지 마라.” 는 뜻이다.
공자는 일년 4 계절 내내 생강을 먹었으나 많이 먹지 않고 매 식사 후 편강(片薑)을 먹는 습관을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고인들은 공자의 말을 따라서 얇게 저민 새앙을 엿이나 꿀에 조려 편강(片薑)을 만들어 매일 조금씩 먹었다.
남송(南宋) 때 유학자(儒學者) 주희(朱熹)의 저서 논어집주(論語集注)에 보면 ”강능통신명(姜能通神明), 거예악(去穢惡), 고불철(故不撤).”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생강은 천지신명과 통한다. 더러운 것과 나쁜 것을 일소해 준다. 그러므로 끊지 말고 계속 먹어라.” 는 뜻이다.
또 북송(北宋) 때 대문호 소동파(蘇東坡)는 54 세 때 항주(杭州)로 좌천되어 벼슬아치로 내려가 있을 때 문정사(聞淨寺) 방장(方丈 : 주지스님)의 나이가 80여 세 인데 백발홍안(白髮紅顔)이다는 소문을 들었다. 그래서 소동파는 주지스님을 찾아가 몸을 굽혀 인사하고 장수하는 이유를 물었다.
주지스님은 ”나는 불문(佛門)에 입도(入道)한 후 지금 까지 매일 생강을 복용하는 것 뿐이오” 라고 소동파에게 대답했다.
공자는 73 세에 세상을 떠났다. ”인활칠십고래희(人活七十古來稀)” 라고 말하던 시대에 73 세 까지 수를 누린 것은 장수한 것이나 다름없다. 공자가 장수를 누린 것은 생강을 복용한 때문인가?
현대 실험 연구에 의하면 생강은 강분(薑? : Gingerol)을 함유하고 있는데 심혈관에 작용하여 심장박동을 빠르게 해주고 관상동맥을 확장시켜 주며 혈액순환을 양호하게 해준다고 나타났다. 그리고 전신에 온열(溫熱) 감각을 느끼게 해준다고 한다. 소화도를 자극하여 소화도의 연동운동을 증강시켜 주며 소화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해주고 장위의 영양분 흡수를 증가시켜 준다. 또 생강은 건위(健胃) 작용과 지구(止嘔) 작용도 있다.
영국의 과학자들과 영양학자들은 최근 생강속에 아스피린과 비슷한 성분의 Salicylic Acid 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물질은 혈액의 응고를 방지해 준다고 한다. 그러므로 생강은 혈액중에 포함되어 있는 중성지방을 경감시켜 줌과 동시에 혈압을 내려주고 혈전(血栓)의 생성을 방지해 주며 심근경색(心筋梗塞)을 예방해 주는 효과가 있다.
또 미국의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생강은 Prostaglandin 의 레벨을 조절해 준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Prostaglandin 은 혈액의 점도(粘度)와 응집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확장 작용도 해준다.
또 네덜란드의 과학자들의 연구에 의하여 생강은 항생물질(Antibiotic)과 같은 작용을 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살모넬라균(Salmonella : 장티푸스와 식중독 등을 일으키는 병원균)을 죽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일본 학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생강속에 들어있는 강분(薑? : Gingerol)은 Prostaglandin 의 합성을 억제함으로 담(膽)에 이롭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인체내에서 Prostaglandin 분비 과다시 담즙 중에 점액소(粘液素 : Mucin)가 증가되며 점액소(粘液素 : Mucin)와 담즙 속에 포함되어 있는 칼슘이온이 합쳐지면 담석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강분(薑? : Gingerol)이 Prostaglandin 의 합성을 억제해 줌으로 담즙 속에 점액소(粘液素 : Mucin)의 형성이 감소되어 담석증 발생을 억제해 준다.
고로 담낭염 환자와 담석증 환자들은 담석형성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드시 생강을 복용할 필요가 있다.
독일의 과학자들은 생강이 항암작용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고무적이다. 생강은 암세포의 생장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 생강의 매운맛은 항산화제이며 비타민 E 의 효과를 능가한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그러므로 생강은 항노쇠 식품임과 동시에 장수보건 식품임에 틀림없다.
생강의 미(味)는 매웁고 성(性)은 열(熱)이기 때문에 많이 먹고 오래 먹으면 ”구복손음상목(久服損陰傷目)” 이라고 본초경소(本草經疏)에 기록되어 있다.